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팻 보험이나 팻 금융 시장이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펫 보험을 접목한 IT기술을 응용한 상품들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홍채인식, 비문 인식 등의 기술을 활용해 병원에 직접 데려가지 않고 집에서 반려동물의 특정부위 사진 촬영을 통해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맞춤형 상품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팻보험은 전 세계뿐 아니라 국내 시장 역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지난 2020년 51억 달러 규모에서 매해 평균 13%씩 성장해 2027년에는 121억 달러의 시장이 될 전망입니다. 이렇게 증가하고 있는 펫 보험 시장의 주축은 MZ세대들로 반려동물에 대한 사랑과 애정이 비용 지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펫 보험이 활성화되어있는 주요 국가는 스웨덴, 노르웨이, 영국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국가들의 펫 보험 침투율은 10% 대가 넘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치이며 미국 1%, 캐나다 2%, 그리고 반려동물 인구가 많은 프랑스 역시 5%에 그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국내 한국인 4명 중 1명은 키우고 있지만 반려동물 펫 보험은 아직 가입률이 0.25% 정도로 낮은 수치를 조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차츰 국내에서도 팻 보험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메리츠화재, DB손해보험, 삼성화재, 현대해상의 보험사들과 핏펫, 펫 나우, 에브리 펫 등의 스타트업 기업들이 펫 보험 상품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중 펫보험에 IT기술 중 홍채인식, 비문 인식, 인공지능 등의 다양한 기술을 접목해 직접 병원에 데려가지 않고 집에서 강아지의 특정부위를 촬영해 사진을 올리면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플랫폼인 핏펫은 모바일 소변검사 어헤드를 통해 소변을 채취 후 검사 막대를 이용해 소변을 묻히고 촬영하는 방식으로 반려동물 건강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펫 나우는 AI 객체 인식 기술로 반려동물의 코지 문인 비문을 인식해 개체를 식별하는 앱을 개발해 반려동물 신원을 확인하고 보험료와 보장혜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에브리 펫 역시 이런 비문 인식 기술을 활용해 보험개발원의 반려동물 원스톱 진료청구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팻 보험이나 펫 금융시장은 앞으로 더 다양한 상품들로 확장될 것으로 보이며 이런 IT기술을 응용해 반려동물 상품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보험연구 관계자는 이런 디지털화가 촉진되면 IT기술을 활용해 홍채인식, 비문 인식 등 다양한 기술로 반려동물 등록에 대한 거부감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팻보험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며 실손의료보험 중심에서 신탁 등 종류와 보장 범위 등이 다양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